원화 스테이블 코인 작명법

카카오의 ‘PKRW’, 토스의 ‘KRWTBK’, KB국민은행의 ‘KBKRW’.
마치 암호 같은 이름들 뒤에는 대한민국 원화를 블록체인에 올리려는 거대한 시도가 숨어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원화’는 이름부터 다시 태어나고 있습니다.

국내 주요 금융·IT 기업들은 앞다투어 ‘KRW 스테이블코인’ 상표 등록 전쟁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한 조합형 이름만으로는 브랜드 정체성도, 사용자 신뢰도 확보하기 어렵습니다.

이 글에서는 용도별로 어떤 이름이 실용적이고, 어떤 작명이 실패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비평하며,
실제 사용자를 위한 네이밍 전략 2.0을 제안합니다.

토스뱅크, KB국민은행, 하나은행, 신한금융지주, NHN KCP,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카카오뱅크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원화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활발하게 진출 중이며, 각자 특색 있는 전략으로 경쟁력을 키워가고 있습니다.

아래는 토스뱅크, 국민·하나·신한 등 금융권과 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NHN KCP 등 핀테크·IT기업들이 특허청에 실제 출원한 원화 스테이블코인 관련 상표 20가지입니다. 금융·결제 명칭 + ‘KRW’ 조합이 주를 이루며, 은행·기업별 고유 이니셜을 포함하거나, 티커형 약어를 병용하는 형태입니다. 브랜드 네이밍 이라기 보다는 범용성을 고려한 선점효과가 돋보이는 작명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실제 출원된 상표 20선

  1. KRWTBK (토스뱅크)

  2. KRWTSB (토스뱅크)

  3. TSKRW (토스뱅크)

  4. KRWV (토스)

  5. TKRW (토스)

  6. TOSSKRW (토스)

  7. KRWTOSS (토스)

  8. KRWT (토스)

  9. KRWTS (토스)

  10. KBKRW (KB국민은행)

  11. KRWKB (KB국민은행)

  12. KBST (KB국민은행)

  13. KRWST (KB국민은행)

  14. HanaKRW (하나은행)

  15. KRWHana (하나은행)

  16. KRWSHB (신한금융지주)

  17. SHKRW (신한금융지주)

  18. PKRW (카카오페이)

  19. KRWP (카카오페이)

  20. NKRW (네이버페이)


🧠 비평적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1. 식별성: 다소 부족

  • 대부분 “KRW” + 기업명/이니셜 조합 형태로, 차별화가 약한 구조입니다. 예: KBKRW vs KRWKB. 이러한 명명은 직관적이지만 브랜딩 효과가 떨어지고, 유사 상표와 충돌 우려가 큽니다 news.nate.com+15thelec.kr+15industrynews.co.kr+15.

2. 브랜딩 가치 미미

  • 대부분 이니셜 기반이어서 무미건조한 티커 스타일입니다. 소비자에게 기억되거나 신뢰감을 주기엔 부족합니다. 특히 “KRW” 남발이 브랜드 인지도 구축에 부정적입니다 .

3. 법적·제도적 선점 전략

  • 실제 발행 계획 없이 상표만 선등록하며 “선점 의지”를 드러낸 형태입니다. 그러나 실질 발행 없이 상표만 등록될 경우 권리 무의미할 수 있고, 제도 변화에 따라 무용지물이 될 수 있습니다 .

4. 범용성과 혼동 우려

  • 사실상 KRW + 이니셜 구조가 반복되면서, 향후 다양한 서비스나 기업이 유사명으로 진입하면 소비자 혼동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종합 제언

  • 짧고 임팩트 있는 고유 브랜드를 만들어야 합니다 (“SafeKRW”, “CoinToss”처럼). 단순 KRW 조합에서 벗어나야 소비자 인지와 신뢰 구축이 유리합니다.

  • 법적 선점보다 실질 발행 계획이 중요합니다. 상표는 목적으로 끝나지 않고, 실제 사용 및 활성화 전략과 함께 가야 효과적입니다.

  • 혼동 방지를 위한 차별화가 필수입니다. 브랜드 네임, 로고, 슬로건까지 종합 설계된 브랜드로 발전시켜야 시장 내 위치 선점이 가능합니다.

아래는 **원화 스테이블코인(KRW Stablecoin)**이 사용될 수 있는 주요 용도별로, 브랜드 네임 후보안을 제안한 것입니다. 각각의 용도에 맞춰 기능 강조형, 감성 중심형, 글로벌 확장형 등의 요소를 고려해 작명했습니다.


 1. 개인 간 송금 (P2P 송금, 간편 결제)

유형네이밍 후보설명
기능 중심형QuickKRW, SwiftWon, KRWFlow빠르고 간편한 송금 이미지
감성 중심형나눔원, 온원, 함께KRW“함께 나누는 돈” 느낌
글로벌 대응형SendWon, XferKRW, WonGo해외 사용자에게도 직관적 발음

 2. 소비·결제 플랫폼 (온·오프라인 결제)

유형네이밍 후보설명
기능 중심형PayWon, KRWPay, WonPayX결제 수단으로 직관적 사용
감성 중심형온페이, 원클릭, 든든KRW신뢰, 손쉬움 강조
브랜드 통합형N-Won (네이버), K-Wallet (카카오), T-Won (토스)기업 정체성과 통합

 3. 저축·예치형 상품 (스테이킹, 디지털 정기예금)

유형네이밍 후보설명
안전 강조형SafeWon, KVault, KRWKeep보관/예치의 안전함 강조
신뢰 강조형TrustKRW, AnchorWon, WonReserve디지털 금고 느낌
감성형든든통, 마음저금, 온마음사용자 친화 감성형

 4. 리워드·포인트 통합 (마일리지, 쇼핑 포인트 대체)

유형네이밍 후보설명
리워드형KRWards, WonBack, PayPlus리워드+KRW의 합성
친화형원포인트, 기쁨통, 스마일원고객 경험 강조형
통합형PayAll, AllWon, KCombo다양한 리워드 통합 지갑 이미지

 5. B2B 정산/지급 시스템 (온라인 쇼핑몰, 거래처 간 대금 정산)

유형네이밍 후보설명
기능형SettleKRW, WonLedger, B2BPay정확하고 신속한 정산 강조
신뢰형BizWon, ProKRW, ClearKRW기업 고객 대상 신뢰 강조
구조적 이름KRWnet, PayGrid, WonLink지급망 이미지 강조

 6. 글로벌/다국적 환전·교환

유형네이밍 후보설명
기능형XWon, GlobeKRW, BorderlessWon경계 없는 화폐
발음 고려형K-Won, UniWon, GoWon짧고 발음 쉬움
의미 강화형WorldWon, OneKRW, WonBridge교환/연결의 개념 포함

 7. CBDC 실험/정부 연동

유형네이밍 후보설명
공식형e-KRW, dWon, KoreanDigitalWon정부/공공 기관 친화적
기능형GovKRW, KRWchain, StatePay정책적 실험/보조금 기능 포함

💡 부가 팁: 네이밍 체크리스트

요소설명
✔ 발음 용이성국내외 사용자가 쉽게 발음 가능해야 함
✔ 브랜드 연상력사용 목적이 이름에 반영되어야 함
✔ 중복 상표 여부특허청/도메인 확보 가능성도 확인 필요
✔ 스케일 확장성초기 용도에 국한되지 않고 확장 가능해야 유리

© 2023 나의 웹 페이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